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자료

  • Home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새 창 열림
  • X 새 창 열림
  • 페이스북 새 창 열림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시청자 의견 조사 결과 표
번호 구분 연도 자료명 파일 등록일
94 연구보고서 2024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시장 신뢰도 제고를 위한 브랜드 안전 강화 방안 다운로드 2024-02-01
내용
최근 유튜브, 틱톡 등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각종 유해 콘텐츠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콘텐츠 옆에 브랜드 광고가 배치되어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는 것이 브랜드 안전의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브랜드 안전 이슈가 발생하더라도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관심도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브랜드 안전의 개념, 유형, 목적 및 기대효과, 국내 브랜드 안전 현황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93 연구보고서 2022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 다운로드 2024-02-01
내용
이 연구는 방송프로그램 심의에 있어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주요 쟁점(부동산・주식・암호화폐 등 경제 관련 프로그램, 사극 등 역사재현 프로그램, 간접광고, 방송프로그램의 폭력성, 음주・흡연 장면 노출,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사용 등)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심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주요 연구내용은 기존 심의내용 분석, 시청자 인식조사이다.
92 연구보고서 202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에 따른 시청자 영향평가(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22-37) 다운로드 2024-01-31
내용
중간광고를 매체 구분 없이 허용하고 매체 간 광고총량제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방송법 시행령(2021년4월30일 공포)」이 202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상파 채널에 대한 중간광고 허용이 시청자와 방송광고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와 관련된 제도 개선안과 여타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91 조사분석서 2023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Media Issue&Trend 2023년 11・12월호(Vol.59) 다운로드 2024-01-30
내용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발간하는 「Media Issue&Trend」 2023년 11・12월호(Vol.59)이다.
90 정책자료 2021 [방송통신위원회]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추천서비스 이용자 보호 기본원칙 다운로드 2024-01-29
내용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021년 6월 30일 디지털 플랫폼의 추천서비스와 관련한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서비스 이용자 보호 기본 원칙」을 발표하였다. 이 원칙은 대표적인 미디어 서비스 모델로 부상한 인공지능 기반 추천서비스의 투명성과 다원성을 확보하는 취지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권고되는 자율 규범이다.
89 정책자료 2021 [방송통신위원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추천 서비스 이용자 보호 기본원칙 해설서 다운로드 2024-01-29
내용
이 해설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2021년 6월 30일 발표한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추천 서비스 이용자 보호 기본원칙」에 제시된 개별 항목 및 원칙의 제정 취지와 주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마련되었습니다. 본 기본원칙 제정 전후의 의견수렴 과정에서 확인되었던 각계 각층의 인식과 수용도의 격차를 좁히고 디지털 미디어 영역에서 자율규제 원칙이 타당하게 정립되고 이행되도록 간략한 해석지침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88 조사분석서 2023 [방송통신위원회・KAIT] 방송통신서비스 이용자보호 이슈리포트(2023년 22호) 다운로드 2024-01-26
내용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행하는 '방송통신서비스 이용자보고 이슈리포트(2023년 제22호)'이다.
87 정책자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캐나다 OTT서비스 규제 동향: 온라인 스트리밍법(Online Streaming Act)의 주요내용을 중심으로(KISDI Perspective July 2023 No.1.) 다운로드 2024-01-25
내용
캐나다에서는 2023년 4월 27일 "온라인 스트리밍법(Online Streaming Act)"라고 불리는 방송법 개정법안 Bill C-11이 캐나다 총독(영국 군주의 대리인) 재가를 받아 법으로 제정되었다. 온라인 스트리밍법은 1991년 이후 처음으로 개정된 방송법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방송법 규제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방송통신 규제기관인 CRTC에 규제 및 감독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캐나다에서 모든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디즈니+, 유튜브 등)은 기존 방송사와 동일한 규제를 받게 될 전망이다. 즉, CMF(Canada Media Fund)와 같은 기금에 일정 금액을 납부하여 캐나다 콘텐츠 제작을 지원해야 하고, 해당 플랫폼에서 일정량의 캐나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며, 검색용이성(discoverability)을 향상시켜 적극 홍보해야 하고, CRTC의 요구 시 기업 재무, 광고 수익, 프로그램 지출액 등의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86 정책자료 202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규제 시도(KISDI Perspective December 2021 No.2.) 다운로드 2024-01-25
내용
캐나다 자유당 정부는 2020년 11월 3일 방송법 개정 법안인 Bill C-10을 발의하였다. Bill C-10은 1991년 이후 20여년 만의 대대적인 방송법 개정안으로, OTT서비스를 방송법 규제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넷플리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주요 OTT서비스가 방송법의 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Bill C-10은 넷플릭스와 같은 대형 스트리밍 사업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 제작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도 규제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에 사회 각층에서 표현의 자유 침해, 검열 등의 이슈로 논란이 불거졌다.
85 조사분석서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요 SVOD 서비스 제공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23Q1)(KISDI OTT Report 23-01) 다운로드 2024-01-25
내용
본 보고서는 한국리서치에서 수집‧제공하고 있는 KOREA OTT INDEX(KOI)를 통해 국내 주요 SVOD서비스의 전체 이용시간 및 콘텐츠별 이용시간 자료를 토대로 국내 OTT 이용자들의 SVOD 서비스를 통한 콘텐츠 이용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내용은 5개 SVOD 서비스(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티빙, 왓챠)를 대상으로 시청시간 규모와 SVOD별 콘텐츠 시청시간 점유율 비교, 콘텐츠 특성별 이용현황(오리지널/비오리지널, 제작국가, 장르 등) 및 인기 콘텐츠 현황(전체 시청시간 기준 상위 200개 인기 콘텐츠 및 주요 SVOD 서비스별 상위 50개 인기 콘텐츠의 분포와 특성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