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번호 | 구분 | 연도 | 자료명 | 파일 | 등록일 |
---|---|---|---|---|---|
124 | 연구보고서 | 2024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영국의 융합미디어 규제체계 연구(KSCS 2023-006) | 다운로드 | 2024-03-05 |
내용 |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발간한 '영국의 융합미디어 규제체계 연구(KSCS 2023-006)'이다. 영국은 일찍부터 방송콘텐트에 대해 어린이·청소년과 일반 시청자를 '유해한' 내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높은 기준을 제시하고 오프콤에서 이의 준수를 감시해 왔다. 2009년 이후 방송에 비해 완화된 수준이지만 온라인에서의 불법 콘텐트는 규제를, 유해 콘텐트는 자율규제를 적용하고, 온라인 콘텐트에 대한 오프콤은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2023년 10월 26일 '온라인 안전법(Online Safty Act 2023)'을 제정·공표하고, 2023년 11월 VOD서비스내용규제를 강화하는 미디어법안을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는 OTT에 대한 규제체계를 가장 일찍 정비하고 최근 '2023 온라인 안전법' 제정으로 온라인 내용규제 체계를 정립한 영국의 융합콘텐트 규제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OTT 및 온라인 내용규제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
123 | 조사분석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년 KI시청자평가지수 조사(정책자료23-10) | 다운로드 | 2024-03-04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23년 KI시청자평가지수 조사 보고서이다. 시청자평가지수(KI,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ndex) 조사는 방송 시청자를 대상으로 방송프로그램의 질과 만족도를 평가하는 시청자 평가지수(KI)를 산출하여 방송평가에 반영하고 고품질의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인식 변화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방송서비스‧콘텐츠의 제작 등에 대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매년 보조적인 조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
||||
122 | 조사분석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평가 기반조성 2023년도 방송사업자 편성현황 조사(2022년 자료)(정책자료 23-13) | 다운로드 | 2024-03-04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방송평가 기반조성 2023년도 방송사업자 편성현황 조사(2022년 자료)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국내 방송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방송법 및 동법 시행령, 「방송프로그램 등의 편성에 관한 고시」에서 규정하는 방송사업자의 방송프로그램 편성에 대한 다양한 의무편성 규제의 준수 여부 및 관련 편성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
||||
121 | 연구보고서 | 2023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 일상화 시대,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발전방안 | 다운로드 | 2024-02-29 |
내용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발간한 '광고 일상화시대,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발전방안' 보고서이다. 미디어 기술 진화로 광고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광고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가 필수적인 환경이 되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광고 리터러시 연구동향, 국내외 광고 리터러시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구체적이며 실효성 높은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발전방안을 탐색하였다.
|
||||
120 | 연구보고서 | 2023 |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 커리큘럼 및 활성화 방안(연구서 2023-02) | 다운로드 | 2024-02-28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 커리큘럼 및 활성화 방안(연구서 2023-02)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공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과정을 개발해 제공하고, 이런 교육을 학교현장에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역량을 기반으로 '미디어와 인격권' 교육내용의 주제 및 세부주제들을 구성해 커리큘럼 형태로 개발하고, 이렇게 마련된 교육과정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관련 교육의 구체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
119 | 조사분석서 | 202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와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KISDI STAT Feb.15.2024) | 다운로드 | 2024-02-27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와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KISDI STAT Feb.15.2024)이다. 한국미디어패널조사('20-'22)에 따르면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 중 인스턴트 메신저(예. 카카오톡)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동영상 콘텐츠 제공서비스(예. 유튜브)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주 이용자는 여성의 비중이 높은 반면 동영상 콘텐츠 주 이용자는 남성의 비중이 높고 두 집단 모두 고연령대 이용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주 이용자의 SNS 이용률은 증가하고, 동영상 콘텐츠 주 이용자는 감소함에 따라 두 사용자 그룹의 미디어 이용행태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118 | 정책자료 | 2022 | [국회입법조사처] 재난의 일상화에 대비한 재난방송 정책 현황 및 향후과제(이슈와 논점 제2023호, 2022.12.12.) | 다운로드 | 2024-02-23 |
내용 |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간한 '재난의 일상화에 대비한 재난방송 정책 현황 및 현황과제'(이슈와 논점 제2023호) 보고서이다. 최근 자연재난 뿐 아니라 각종 사회재난이 장기화・일상화 되고 있어 재난방송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재난방송 운영과정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에 있으며, 접근성 제고,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제공 등 개선이 기대된다. 다만, 추진과제 중 재난전문채널 신설, 재난방송 평가, 지역재난방송협의회 활성화 등 일부 과제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장기화・일상화・복잡화된 재난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 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
||||
117 | 통계자료 | 2023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 | 다운로드 | 2024-02-23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 조사'이다. 2023년 기준 K-콘텐츠의 글로벌 위상을 종합적으로 산출한 결과 9개국 평균 62.8점이었다. 신흥국가인 태국의 종합점수가 72.1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도네시아 71.8점, 베트남 70.0점, UAE 67.0점 순이었다. 중위권으로는 미국 63.9점, 중국 63.8점이었다. 하위권으로는 프랑스 54.0점, 일본 51.8점, 러시아 50.9점이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의 경우 K-음악 점수가 높은 편이었고 UAE는 패션, 신기술 융합 콘텐츠 점수가 비교적 더 높았다.
|
||||
116 | 연구보고서 | 2023 | [한국언론진흥재단] 청년세대와 미디어 리터러시(연구서 2023-04) | 다운로드 | 2024-02-22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청년세대와 미디어 리터러시'(연구서 2023-04)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청년세대들이 성숙한 성인으로서 올바르게 미디어를 이용하여 민주시민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세대를 밀레니얼 세대(M세대)와 Z세대로 구분하여 세대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탐색하였다. MZ세대의 일반적 특성과 미디어 이용행태를 문헌연구와 언론보도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 포커스그룹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
115 | 조사분석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생성형 AI와 저작권 현안(KISDI AI Outlook 2023 Vol.13) | 다운로드 | 2024-02-21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생성형 AI와 저작권 현안'(KISDI AI Outlook 2023 Vol.13) 보고서이다. 최근 생성형 AI모델은 인간의 고유영역으로 생각되었던 예술창작 영역으로 그 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그 결과물이 인간의 창작과 버금가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저작권 이슈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생성형 AI가 만들어 낸 산출물에 대한 권리귀속이 명확히 정리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ChatGPT의 경우에서 보듯이 OpenAI도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점에서 생성형 AI를 둘러싼 저작권 귀속이나 권리침해 등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구체화 작업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