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번호 | 구분 | 연도 | 자료명 | 파일 | 등록일 |
---|---|---|---|---|---|
304 | 조사분석서 | 202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슈퍼 선거의 해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 악용 사례 및 대응방안(KISDI Perspectives, May 2024 No.1) | 다운로드 | 2024-06-14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슈퍼 선거의 해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 악용 사례 및 대응방안(KISDI Perspectives, May 2024 No.1)' 자료이다.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허위 콘텐츠가 연예인, 일반인, 정치인까지 대상으로 제작되어 SNS와 포털사이트를 통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 규제에 대한 국내외 논의 동향을 살펴보고 있다.
|
||||
303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트렌드(제38권) | 다운로드 | 2024-06-14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방송영상트렌드(제38권)' 자료이다.
|
||||
302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콘텐츠산업동향(2024년 4호) | 다운로드 | 2024-06-13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미국콘텐츠산업동향(2024년 4호)' 자료이다.
|
||||
301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콘텐츠산업동향(2024년 08호) 중국산 콘텐츠의 한국시장 진출 현황과 시사점 | 다운로드 | 2024-06-13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중국콘텐츠산업동향(2024년 08호) 중국산 콘텐츠의 한국시장 진출 현황과 시사점' 자료이다.
|
||||
300 | 조사분석서 | 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제264호, 2024.6.7.) | 다운로드 | 2024-06-12 |
내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간한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제264호, 2024.6.7.)' 자료이다.
|
||||
299 | 연구보고서 | 2023 | [한국저작권보호원] 해외 저작권 보호 협력 및 글로벌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KP연구 2023-02) | 다운로드 | 2024-06-12 |
내용 |
한국저작권보호원이 발간한 '해외 저작권 보호 협력 및 글로벌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KP연구 2023-02)' 보고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저작권 침해 발생사례 및 현황 조사, 국제기구・외국 정부 및 공공기관・외국 권리자단체 등 해외 저작권 보호 기관의 업무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글로벌 저작권 보호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전략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
298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 글로벌 디지털 산업・정책 주간동향(2024년 5월 통합) | 다운로드 | 2024-06-12 |
내용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글로벌 디지털 산업・정책 주간동향(2024년 5월 통합)' 자료이다.
|
||||
297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동향(제200호, 2024년5월) | 다운로드 | 2024-06-12 |
내용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동향(제200호, 2024년5월)' 자료이다.
|
||||
296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위클리글로벌(383호, 2024.6.10.) | 다운로드 | 2024-06-11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한 '위클리글로벌(383호, 2024.6.10.)' 자료이다.
|
||||
295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법제연구원] 미국 AI의 안전한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대통령령(AI Law Issue Brief, 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6-11 |
내용 |
한국법제연구원에서 발간한 '미국 AI의 안전한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대통령령(AI Law Issue Brief, 2024년 1호)' 자료이다. 미국의 AI 대통령령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AI 분야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가진 규제를 도입하는 것으로, 향후 각 국의 AI 분야에 대한 유사한 규제 도입에 중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